KSHF The Korean Society of Heart Failure

Heart Failure Times

Vol.26, Jul. 2022

HEART FAILURE UPDATE

IJHF 바로가기 이미지

급성 심부전 환자에서 체질량 지수, 근육량과 전체 사망률:
재소환된 비만의 역설

Int J Heart Fail. 2022 Apr;4(2):95-109, https://doi.org/10.36628/ijhf.2022.0007

심부전에서 체질량 지수가 적은 환자들이 비만인 환자들보다 예후가 나쁘다고 알려져 있고, 이는 체질량 지수가 적은
환자가 동반 질환이 많고, catabolic status 때문인 것으로 설명하고 있다. 하지만 연구마다 동반 질환과 심부전 phe-
notype 등에 따라 결과가 상이한 경우도 있으며, 체성분 또는 근육량이 심부전의 예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연구가 더 필요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급성 심부전 환자에서 체질량 지수에 따른 사망률을 동반 질환과 심부전 phe-
notype에 따라 다른지를 조사했고, 근육량이 사망률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했다.

  1. 1. 환자 및 연구방법

    • 3차 대학병원에 입원한 총 4,312명의 급성 심부전 환자들을 후향적으로 분석함.
    • 체질량 지수 분류: BMI <18.5 kg/m2 (underweight), BMI 18.5-23 kg/m2 (ideal), BMI 23-25 kg/m2
      (overweight), BMI 25-30 kg/m2 (obesity class I), BMI ≥30 kg/m2 (obesity class II)
    • 총 근육량 (total body muscle mass)은 이전 연구에 제시되었던 혈청 creatinine과 cystatin C를 대입한 공식을
      이용해 산출했고, 총 근육량을 키 (m)2로 나눈 값을 근육 지수 (muscle index)로 산출함.
    • Primary outcome: 5년 전체 사망률
  2. 2. 연구결과

    • Obesity class II 그룹과 비교하여 overweight, ideal BMI, underweight 그룹에서 높은 사망 위험을 보임.
      - Overweight: HR, 1.606; 95% CI, 1.016-2.539; p=0.042
      - Ideal BMI: HR, 1.744; 95% CI, 1.112-2.734; p=0.015
      - Underweight: HR, 2.729; 95% CI, 1.686-4.417; p<0.001
    Follow-up duration (months) 그래프01

    연령, 고혈압, 당뇨병, 허혈성 심장질환, 심방세동의 유무, 심부전 phenotype에 상관 없이 체질량 지수가
    낮을수록 사망 위험이 높아짐.

    그래프02
    • 근육지수(총 근육량/키(m)2)가 낮아도 사망 위험이 높아짐.
    Follow-up duration (months) Muscle index (kg/m2) 그래프02
  3. 3. 연구의 결론

    • 급성 심부전 환자에서 낮은 체질량 지수와 근육 지수를 가질수록 사망의 위험이 높음.
    • 급성 심부전 환자에서 비만의 역설은 동반 질환 및 심부전 phenotype과 상관없이 관찰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