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 배경 이미지

KSHF The Korean Society of Heart Failure

Heart Failure Times

Vol.47, May. 2024

HEART FAILURE UPDATE

Cardiac amyloidosis 환자에서 경구용 항응고제 투약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Int J Heart Fail. 2024 Jan;6(1):36-43

소문승 역자아주의대

Cardiac amyloidosis (CA) 환자에서 Atrial fibrillation (AF)의 동반은 흔하나, 혈전색전증 발생의 예방과 주요 출혈을 줄이기 위한 최적의 항응고제 전략은 명확하게 정립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 분석을 통하여 AF이 동반된 CA 환자에서 Direct oral anticoagulants (DOAC)와 Vitamin K antagonists (VKA)의 안전성 및 효능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1. 1. 환자 및 연구 방법

    CA 및 AF 환자의 항응고 치료의 임상 결과를 보고한 연구들에 대해 체계적인 문헌 검토를 수행하였다.
    CA 및 AF 환자에서 DOAC과 VKA의 비교를 포함한 무작위 및 비무작위 임상 연구들을 대상으로 포함하였다.
    2023년 7월 9일까지 영어로 출판된 Peer-reviewed article로 제한하였다.
    주요 결과(Endpoints)는 주요 출혈과 혈전 발생으로 설정하였다.
    주요 출혈은 입원 또는 수혈을 시행한 Event를 대상으로 하였다.
    혈전 발생은 뇌졸중, 일과성 허혈 발작 또는 말초 색전증을 포함하였다.
    주요 결과(Endpoints)는 무작위 효과 Risk ratio (RR)와 95% 신뢰 구간(CI)을 사용하여 보고하였다.
  2. 2. 연구 결과

    총 1,57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한 4건의 연구를 포함하였다.
    대상자의 평균 연령의 중앙값은 77.2세 (IQR 76.6-77.7), 남성 비율은 85.8% (IQR 70.7-88.9), Wild type ATTR amyloidosis의 비율은 80.0% (IQR 75.3-89.4)이었다 (Table 1).

    Table 1. Baseline characteristics of the included studies

    CA 및 AF 환자의 주요 출혈 발생률은 VKA와 비교했을 때 DOAC 치료군에서 차이가 없었다 (RR 0.64; 95% CI, 0.38-1.10; p=0.10) (Figure 1).
    CA 및 AF 환자에서 혈전 발생률은 VKA 대비 DOAC 치료 시 감소되는 결과를 보였다 (RR 0.50; 95% CI, 0.32-0.79; p=0.003) (Figure 2).

    Figure 1. Forest plot of bleeding events for DOAC vs. VKA in cardiac amyloid patients / Figure 2. F Forest plot of thrombotic events for DOAC vs. VKA in cardiac amyloid patients

  3. 3. 연구의 임상적 의의

    본 연구에서 AF이 동반된 CA 환자 중 DOAC으로 치료받은 환자에서 혈전성 사건은 감소했으며, 주요 출혈은 VKA와 비교했을 때 차이가 없었다.
    CA에서 혈전 색전증의 메커니즘은 Amyloid 침착으로 인해 좌심실 충압이 증가하여 좌심방 리모델링이 일어나는 것과 관련 있고, 출혈 위험에서도 Amyloid 침착은 혈관 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AF이 동반된 CA 환자에서 DOAC이 VKA만큼 안전하고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CA의 각 Subtype에 따른 추가적인 Randomized clinical trials이 필요하다.